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MySQL과 MariaDB, 무엇이 다를까?

홈페이지 제작/서버관련

by WEBsiting 2025. 6. 9. 09:37

본문

 

 

오픈소스 데이터베이스의 대표주자 두 가지를 자세히 비교해보자


✅ MySQL이란?

MySQL은 세계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오픈소스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RDBMS) 중 하나입니다. 1995년 스웨덴의 MySQL AB에 의해 처음 개발되었으며, 이후 2008년에 선마이크로시스템즈(Sun Microsystems)에 인수되었고, 다시 2010년에는 Oracle(오라클)에 인수되었습니다. 현재는 Oracle Corporation에서 관리되고 있습니다.

MySQL은 특히 LAMP(Linux, Apache, MySQL, PHP/Python/Perl) 스택의 일부로 많이 쓰이며, 빠르고 안정적이며 다양한 운영체제에서 잘 동작하는 장점이 있습니다. 또한, PHP와의 궁합이 좋아 워드프레스, 드루팔 등 많은 CMS에서도 기본 데이터베이스로 채택되고 있습니다.

MySQL은 커뮤니티 버전과 상업용 버전(Enterprise Edition)으로 나뉘며, 커뮤니티 버전은 무료이지만 일부 고급 기능은 상업용 버전에만 제공됩니다. 이러한 제한점 때문에 자유롭고 완전한 오픈소스를 지향하는 사용자들 사이에서는 대안으로 MariaDB가 많이 사용됩니다.


✅ MariaDB란?

MariaDB는 MySQL의 원래 개발자였던 몬티 와이드니어스(Michael "Monty" Widenius)가 Oracle의 MySQL 인수에 대한 우려로 인해 2009년 별도로 시작한 데이터베이스 프로젝트입니다. 그는 오픈소스 커뮤니티의 자유를 지키기 위해 MySQL의 소스코드를 기반으로 한 새로운 포크(fork)를 만들었고, 이 프로젝트가 바로 MariaDB입니다.

MariaDB는 MySQL과의 완벽한 호환성을 유지하면서, 더 많은 기능을 오픈소스 상태로 제공하고, 더 빠른 성능 개선과 혁신적인 기능 업데이트를 포함하고 있습니다. 오픈소스 철학에 따라 MariaDB는 다양한 커뮤니티와 기업이 공동으로 개발에 참여하며, 무료로 사용할 수 있고 활발하게 개선되고 있다는 점이 큰 장점입니다.

MariaDB는 현재 많은 리눅스 배포판(Ubuntu, CentOS 등)에서 MySQL의 기본 대안으로 제공되고 있으며, 구글, 페이스북, 위키미디어 재단 등 대규모 서비스에서도 사용되고 있습니다.


✅ MySQL과 MariaDB의 주요 비교

MySQL vs MariaDB

항목  MySQL  MariaDB
소유주 Oracle Corporation MariaDB Foundation
라이선스 오픈소스(Community) + 상용(Enterprise) 100% 오픈소스 (GPL, LGPL 등)
기능 업데이트 안정성 중심, 느린 업데이트 주기 빠른 기능 추가, 다양한 엔진 지원
스토리지 엔진 InnoDB 중심 Aria, XtraDB, ColumnStore 등 다양
성능 일반적인 성능은 유사 대규모 트래픽 및 복잡 쿼리에 유리
호환성 MySQL 자체 표준 MySQL 5.7까지 완벽 호환, 그 이후는 분기 가능성 있음
지원 Oracle 공식 지원(유료) 커뮤니티 및 기업 지원 (SkySQL 등)
사용처 엔터프라이즈, 상용 솔루션 오픈소스 프로젝트, 대규모 서비스

✅ 성능 측면에서의 차이

MariaDB는 최신 버전에서 쿼리 최적화 및 스레드 처리에 있어 더 뛰어난 성능을 보입니다. 특히 Thread Pool, Parallel Replication, ColumnStore 등 고성능 기능을 무료로 제공한다는 점에서, 대규모 데이터를 처리해야 하는 웹 애플리케이션이나 분석용 시스템에서 유리합니다.

반면 MySQL은 안정성과 신뢰성을 중심으로 개발되며, 대규모 트랜잭션 처리나 복잡한 업무 시스템에서 검증된 성능을 보여줍니다. 하지만 최신 기능이나 성능 개선이 상용 버전에 먼저 적용되고, 커뮤니티 버전에는 제한적으로 제공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 보안과 업데이트 주기

MariaDB는 커뮤니티 중심의 빠른 업데이트 주기를 가지고 있어 보안 패치나 기능 개선이 더 빠르게 적용됩니다. 오픈소스 커뮤니티의 활발한 활동 덕분에 다양한 버그가 조기에 발견되고 해결되는 편입니다.

MySQL은 Oracle의 내부 일정에 따라 관리되므로 업데이트 주기가 상대적으로 느리고, 오픈소스 기여가 제한되는 단점이 있습니다. 하지만 기업에서 요구하는 안정성과 공식적인 지원을 제공한다는 점에서 장점이 있습니다.


✅ 선택은 어떻게 해야 할까?

  • MySQL이 적합한 경우: 안정적인 엔터프라이즈 솔루션이 필요하거나, 오라클의 상용 지원이 필요한 기업 환경에서는 MySQL이 적합할 수 있습니다. 특히 기존에 MySQL을 기반으로 한 시스템이 이미 구축되어 있고, 변경 리스크가 크지 않다면 그대로 사용하는 것이 무난합니다.
  • MariaDB가 적합한 경우: 오픈소스 철학을 지지하거나, 더 빠르고 유연한 개발 환경을 원하며, 다양한 저장 엔진과 성능 개선을 활용하고 싶다면 MariaDB가 더 나은 선택입니다. 스타트업, 개인 개발자, 중소규모 서비스에서는 MariaDB의 자유도와 유연성이 큰 강점이 될 수 있습니다.

✅ 결론

MySQL과 MariaDB는 근본적으로 같은 뿌리를 공유하는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이지만, 개발 철학과 발전 방향은 다르게 진화해왔습니다. 상용 소프트웨어 중심의 안정성과 공식 지원이 필요하다면 MySQL, 반면 오픈소스와 커뮤니티 기반의 발전을 선호한다면 MariaDB를 선택하는 것이 좋습니다.

둘 다 신뢰할 수 있는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이므로, 현재 사용하고 있는 환경과 장기적인 계획에 따라 적합한 선택을 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 포스팅이 MySQL과 MariaDB의 비교에 도움이 되길 바랍니다. 😊

 

https://paged.kr

 

페이지디 반응형 홈페이지 제작 서비스

페이지디 반응형 홈페이지 제작 서비스, 반응형 홈페이지 제작 전문 페이지디!

paged.kr

 

 

관련글 더보기

Top